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
Tags
- 앱 개발
- 학부연구생
- Kotlin
- 해킹
- 소프트웨어
- 보안제품개발
- 프로그래밍
- QEmu
- 코딩
- 개발
- BOB
- 산학
- bob 14기
- 소프트웨어학과
- 화이트햇스쿨
- 보안
- Android Studio
- 프론트엔드
- 정보보호
- 프로젝트
- 코틀린
- IT
- 악성코드
- React Native
- 애플리케이션
- 후기
- 앱
- 정보보안
- CPU
- 플러그인
Archives
- Today
- Total
맨땅에 코딩
Git commit History 초기화, 삭제하는 법 본문
제가 Github Repository를 Private로 설정해놓고 신나게 API KEY나 CLIENT_SECRET_KEY를 냅다 Commit 했다가 Repository를 다시 Public으로 바꾸려고하니 Commit History에 중요한 KEY들이 싹다 보여서 망해버렸어요! ^_^
(산학도 그렇게 했는데 어카지...)
그래서 어쩔 수 없이 Git Commit History를 삭제하는 법을 찾아보다가
다음과 같은 방법을 실행해보고 반영이 잘 되길래 글을 남겨 봅니다... :)
VS Code로 작업하는지라.. 터미널에서 Git Bash 열고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실행시켜보았습니다..!
rm -rf .git
git init
git add .
git commit -m "Initial commit"
git branch -M main
git remote add origin [레포지토리 주소]
git push -f origin main

근데 진짜 치명적인 단점이 내가 500번을 commit 했었어도 지금까지의 commit 수가 1로 초기화된다는 점...
아니 당연하지 history를 지웠으니....
아 몰라 일단 성공! Public으로 바꾸는 것도 성공!
(근데 진짜 산학 Repository 어카묘..)
'낙서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추억용으로 남기는 대학 입시 일기 (1) | 2025.09.20 |
|---|---|
| Docker 내가 보려고 만든 명령어 정리본 (0) | 2025.02.11 |
| Linux Screen 사용법 (0) | 2025.01.24 |
| 백준 1003번: 피보나치 함수 / C++ (0) | 2024.07.09 |
| 백준 1002번: 터렛 / C++ (0) | 2024.07.09 |